가전_김치냉장고,공기조화 外

한국 가전제품, 이대로 가다간 일본 꼴 날 판

촛농불 2015. 7. 22. 07:38

한국 가전제품, 이대로 가다간 일본 꼴 날 판

한국 비교우위 위해 IoT·융복합 제품 등
블루오션 공략 시급 

이호승 기자 yos547@dt.co.kr | 입력: 2015-07-21 19:09
[2015년 07월 22일자 3면 기사]

원본사이즈   확대축소   인쇄하기메일보내기         트위터로전송 페이스북으로전송 구글로전송
한국 가전제품, 이대로 가다간 일본 꼴 날 판



중국 가전제품의 기술경쟁력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반면 한국 가전제품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어 조만간 한국 가전제품의 위기가 현실화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 가전제품이 세계 가전시장에서 비교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물인터넷, 융복합 제품 등 '블루오션'을 공략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분석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21일 발표한 '한국 가전산업의 한·중·일 국제 경쟁력 비교 및 정책제언'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기계·전자제품의 현시비교우위지수(RCA)는 2009년 1.86에서 2013년 2.1로 12.9% 상승했다. 반면 한국 기계·전자제품의 RCA는 같은 기간 1.75에서 1.78로 1.7% 상승하는데 그쳤고 일본은 1.59에서 1.56으로 1.8% 하락했다.

중국 기계·전자제품의 기술경쟁력이 한국과 일본을 빠르게 따라잡고 있다는 방증이다. 권세훈 상명대 교수는 "수출경쟁력을 나타내는 현시비교우위지수 비교에서 한중일 3국 간에 큰 차이가 없고 중국이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며 "가전산업의 기술격차자 좁아지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권 교수는 한국 기계·가전제품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아무도 선점하지 못한 분야인 사물인터넷과 전자제품을 융합한 융복합 제품이나 첨단센서기술을 이용한 프리미엄 제품 등을 개발하는데 주력해야 한다"며 모바일쇼핑이나 핀테크 산업 발전에 발맞춰 전용 전자상거래 플랫폼 구축과 기존 플랫폼과의 전략적 제휴를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중국의 가전제품 수출이 급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데 비해 한국 가전제품 수출은 정체상태를 보이고 있는 것도 위기감을 더해주고 있다. 1992년부터 2014년까지 중국의 전자제품 수출 비중은 2%에서 32%로 급증했지만 한국은 같은 기간 4.8%에서 6.2%로 소폭 상승했다. 일본은 같은 기간 19.6%에서 5.9%로 3분의 2가량이 줄었다.


이호승기자 yos547@


◇용어
현시비교우위지수(RCA) - 세계 전체 수출시장에서 '특정상품의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과 '특정국의 수출에서 동 상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 간의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