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_김치냉장고,공기조화 外

'중국' 등에 올라타는 중소가전업체들

촛농불 2015. 10. 9. 07:26

'중국' 등에 올라타는 중소가전업체들

쿠첸·휴롬·미동전자통신 등 中 시장 확대에 투자

머니투데이 박계현 기자 |입력 : 2015.10.09 03:30 
     
국내 생활가전업체들이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 현지 자본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현지 유통망 확보나 마케팅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판단하에 중국 자본을 유치, 합작회사를 설립하거나 프랜차이즈 형태로 진출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중국' 등에 올라타는 중소가전업체들
/그래픽=유정수 디자이너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쿠첸 (24,850원 상승1850 -6.9%)은 중국 3대 가전업체인 메이디(Midea)그룹과 중국 내 제품 제조 및 판매를 담당하는 합자회사(JV, Joint Venture) 설립 관련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내년 초 법인 설립을 위한 준비를 시작했다.

두 회사는 합자회사를 통해 쿠첸 기술력을 기반으로 가전제품을 제조하고, 제조한 제품은 쿠첸 브랜드로 중국 내에 판매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중국 타오바오 등 인터넷쇼핑몰에서 쿠첸 밥솥은 고가인 2000위안대 후반~5000위안(한화 50만~90만원) 사이에서 주로 판매되고 있다.

한 가전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IH전기압력밥솥 판매액이 중국 밥솥시장의 20% 가량을 차지하는 등 고가형 제품의 성장세가 가파르다"며 "한국 브랜드 밥솥이 중국에서 프리미엄 제품으로 취급되면서 한국 밥솥을 찾는 중국인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등에 올라타는 중소가전업체들
/그래픽=유정수 디자이너

미동전자통신 (5,860원 상승50 0.9%)은 창업주인 김범수 대표가 소유지분 35.5%를 중국계 펀드인 상하이유펑인베스트먼트에 250억원에 매각하며 경영권을 넘겼다. 상하이유펑인베스트먼트는 장쑤신세기투자발전그룹(신세기그룹)이 대주주로, 미동전자통신은 신세기그룹이 중국 내 블랙박스 유통망 확보에 힘을 실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휴롬 역시 현재 프랜차이즈 전략을 통해 현재 중국 내 18개인 휴롬팜 매장을 연내 50~6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기존 휴롬팜 매장은 상하이·베이징 등 대도시에 문을 열었지만 새로운 매장은 난징·구이저우·칭다오·쓰촨·텐진·선전 등 2선 도시에 자리잡을 예정이다.

이처럼 가전업체들이 앞다퉈 중국 현지 자본을 적극 유치하는 이유는 유통·마케팅 뿐 아니라 현지 제품인증이나 현지 법, 행정규정 적용 등에서도 중국 파트너를 통하는 편이 훨씬 유리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 가전업체 관계자는 "중국의 경우 법률위반 책임이 한국보다 훨씬 센 편"이라며 "법제화도 갈수록 치밀하게 정비돼 현지 사정을 잘 아는 파트너를 둘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