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전력소비 70% 줄인 제품 개발… 전기료 부담 덜고 국내외 공략 채비

세탁물을 햇빛에 말리는 것이 익숙한 국내 소비자들에게도 건조기는 더 이상 낯선 가전제품이 아니다. 전자업계에서는 국내 건조기 시장 규모를 연간 10만 대 정도로 파악하고 있다. 세탁기와 함께 한 쌍으로 팔리는 해외 사례를 참고할 때 매년 일반 세탁기 시장 규모인 150만 대 수준까지 커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건조기 사용의 가장 큰 걸림돌은 전기료. 누진제 적용에 따른 ‘전기료 폭탄’ 걱정에 시달리는 국내 소비자들의 지갑을 열기 위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는 전기료였다.
국내 시장뿐 아니라 해외 사정도 마찬가지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파리협정 이후 각국은 에너지 사용에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고 있다. 미국 등 건조기 사용이 일상화된 국가에서도 건조기 에너지 효율화는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됐다.
건조기가 많은 전기를 쓰는 것은 정속(定速)형 모터의 낮은 에너지효율 때문이다. LG전자는 최근 인버터 모터로 구동되는 ‘인버터 히트펌프’ 트롬 건조기를 개발했다. 일정 속도로 작동과 정지 기능만 실행하는 기존 제품과 달리 모터 구동 속도를 상황에 맞게 조절하고 건조 환경을 선택할 수 있게 만들어 전력 사용량을 줄였다. 소비전력량 기준 기존 제품 대비 30% 수준의 전력만 사용해도 같은 양의 빨래를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임연구원은 “내수시장 확대뿐 아니라 연간 700만 대 규모 미국 건조기 시장 등 해외 시장까지 공략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진 기자 psj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