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다이슨·바디프랜드관 등 특화매장 확대
압구정·잠실·서귀포 등에 삼성 프리미엄 가전관 설치
김포엔 카메라만 1000여개
상권별 특성따라 차별화
연내 30곳까지 늘리기로
압구정·잠실·서귀포 등에 삼성 프리미엄 가전관 설치
김포엔 카메라만 1000여개
상권별 특성따라 차별화
연내 30곳까지 늘리기로

롯데하이마트는 서울 김포공항점에 문을 연 ‘카메라 전문관’에서 카메라, 망원렌즈, 카메라 액세서리 등 1000여 종의 프리미엄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롯데하이마트 제공

하이마트의 매장 혁신은 표준화된 점포 전략으로는 변화하는 소비자의 트렌드를 따라갈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김현철 상품본부장은 “단순히 가전제품을 판매하는 것을 넘어 소비자에게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기업으로 변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상권 특성에 따라 전문관을 올해 30여 개 대형점에 도입하고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카메라관은 미국의 카메라 전문매장(카테고리 킬러)인 B&H를 벤치마킹했다. 처음 B&H와 비슷한 매장을 김포공항점에 내려는 계획이 잡혔을 때는 사내외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국내 일반 카메라 시장이 5년 전과 비교해 70% 이상 축소됐을 정도로 침체돼 있었기 때문이다. 내부 토론을 거쳐 프리미엄급 시장은 가능성이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 모험은 성공적이라는 게 하이마트의 평가다. 10월 한 달간 매출이 목표인 1억5000만원을 넘어섰다. 하이마트는 서울 월드타워점과 부산 광복점에도 카메라 전문관을 도입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삼성전자의 프리미엄 가전제품으로 꾸민 삼성SLS관도 하이마트가 확대하는 전문관이다. 김포공항점 압구정점 상남점(창원) 롯데월드타워점 등 6곳에 들어서 있다. 셰프컬렉션(냉장고), QLED TV, 플렉스워시(세탁기) 등 프리미엄 가전으로 주방 거실 안방 등 3개 공간을 꾸몄다. 고급 집기와 인테리어까지 더해져 가정의 모습과 거의 똑같이 꾸며진 이 전문관에선 베테랑 직원들이 방문객을 맞아 상담에 나서고 있다. 하이마트 관계자는 “다른 제품과 함께 진열했을 때보다 프리미엄 가전 매출이 두 배 이상씩 증가했다”고 말했다. 하이마트는 김포공함점 상남점 서귀포점(제주) 등에선 영국 다이슨에 별도의 공간을 내줬다. 이곳에는 일반 진공청소기의 세 배 이상 비싼 스틱형 무선청소기, 드라이어, 선풍기 등 다이슨 제품이 진열돼 있다. 또 압구정점 등 4개 점포에 문을 연 바디프랜드관은 프리미엄급 안마의자 가격과 성능을 체험해볼 수 있도록 꾸몄다. 주부 사이에서 인기를 끄는 건조기와 스타일러만 별도 부스에 모아 놓은 전문관도 세종점 등 4개 점포에 설치됐다.
하이마트는 2012년 11월1일 롯데그룹에 편입됐다. 롯데가 인수한 뒤 5년간 점포 수는 319개에서 460여 개로 늘었다. 2013년 3조5191억원이던 매출도 지난해 3조9394억원으로 증가했다. 올해엔 4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류시훈 기자 bad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