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엄 '큰손'으로 뜬 아시아
트윈워시 등 고가 2배 이상 팔려
공기청정기, 인도·대만서 인기
지역 특화 '新가전 3인방' 앞세워
아시아 매출 가파른 성장
트윈워시 등 고가 2배 이상 팔려
공기청정기, 인도·대만서 인기
지역 특화 '新가전 3인방' 앞세워
아시아 매출 가파른 성장


LG전자가 지난달 21일 대만 신베이시에 개점한 프리미엄 브랜드숍에서 한 고객이 퓨리케어 공기청정기를 살펴보고 있다. /LG전자 제공
지난해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에서 LG전자가 올린 매출은 6조5000억원에 달한다. 2015년 대비 11% 증가했다. 한국, 북미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매출을 올리는 지역이다. 일반 세탁기와 냉장고가 아니라 프리미엄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아시아 지역에서 세탁기 두 대가 연결된 트윈워시 매출은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늘었다. 퓨리케어 360도 공기청정기도 인도와 대만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두 제품은 각각 200만원, 100만원대의 고가 제품이다.
실적 개선의 주 요인은 아시아 지역 고객들의 구매력이 향상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아시아 지역에 특화된 ‘맞춤형 제품’을 선보인 것이 주효했다. 모기가 많은 동남아 지역에는 모기 퇴치 기능을 적용한 에어컨과 TV를 출시했다. 모기가 싫어하는 30~100㎑(킬로헤르츠) 주파수의 초음파로 모기를 쫓거나 활동을 저하시키는 제품이다.
아시아 지역의 환경 문제를 가전으로 해결한다는 전략도 세웠다. 특히 대기와 수질 오염 문제가 심각한 인도 시장에 주력했다. 중산층을 중심으로 프리미엄 가전에 대한 수요를 확대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2014년 국내 업체 중 처음으로 인도 정수기 시장에 진출한 LG전자는 현지 상황에 맞게 필터 기능을 강화했다. 수질 오염이 심각한 만큼 박테리아, 바이러스, 중금속 냄새 등을 없애주는 5단계 필터 시스템을 도입했다. 수돗물이 깨끗한 한국 제품은 필터가 2개면 충분하다. 화석연료 의존도가 70%에 달하는 등 공기질 문제가 심각하다는 점을 고려해 퓨리케어 360도 공기청정기도 지난해 첫 해외 시장 진출지로 인도를 선택했다.

무선청소기, 스타일러 등 새로운 형태의 가전을 통해 신시장도 개척하고 있다. 소니, 파나소닉 등 자국산 가전 점유율이 절대적이라 ‘글로벌 가전 기업의 무덤’이라 불리는 일본 시장에서 LG전자는 의류 관리기 스타일러를 통해 재기를 노리고 있다.
백색 가전 대부분이 가전 전문 매장에서 철수한 상황에서 스타일러가 ‘깜짝 인기’를 누리고 있다. 일본 법인은 스타일러를 시작으로 다시 유통망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100만원에 달하는 무선 청소기 코드제로 시리즈도 지난해 대만 호주에 이어 올해 중국 일본으로 출시 지역을 넓힌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