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홍석희 기자] 세탁기 강자 미국 월풀사의 한국 가전 견제에 삼성과 LG가 공동대응 전선을 펴기로 했다. 월풀은 글로벌 시장에서 삼성과 LG에 밀리는 형국이고 올해초에는 안방인 미국 세탁기 시장에서 마저 한국 가전회사들에 1위 자리를 내주면서 위기감이 높아진 상태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USITC)와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미국의 수입산 세탁기 세이프가드 조사에 대한 공청회가 7일(미국 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D.C. ITC 사무소에서 열린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정부를 중심으로 공동 대응 전선을 구축중이다.
세이프가드는 특정 품목의 수입이 갑작스럽게 크게 늘어 미국의 제조업체가 피해를 받았을 때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다. 반덤핑 조사와 달리, 외국 업체가 덤핑 등 불법 행위를 하지 않아도 국내 업체가 심각한 피해를 본 것으로 판정되면 수입을 제한할 수 있다.삼성과 LG의 반박 요지는 미국시장에서의 두회사 세탁기 시장점유율은 수년간에 걸쳐 서서히 증가해 ‘급증’ 사유에 해당치 않고, 월풀의 시장점유율이 떨어진 것 역시 소비자 요구를 적기에 대응치 못한 경영 판단 착오 때문이란 것이다. 예컨대 월풀은 소비자들이 세탁물을 앞으로 넣는 프론트 로드(front-load) 요구를 이해치 못하는 등 제품 혁신에 실패했다는 것이다.
한국 산업부와 외교부 등 관계 부처도 공청회에서 월풀의 청원이 세이프가드 발동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힐 계획이다.
삼성과 LG와 정부는 공청회에 앞서 ITC에 제출한 의견서에서 조사 대상 기간인 2012~2016년 미국 내 세탁기 출고가 30% 이상 증가하는 등 미국 세탁기 수요가 증가했고 이에 따라 수입도 자연스럽게 늘었다고 지적했다.
월풀의 영업이익률이 2012년 4.8%에서 2016년 6.5%로 증가하는 등 미국의 세탁기 산업이 세탁기 수입으로 심각한 피해(serious injury)를 보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한편 ITC는 10월 5일까지 월풀이 세탁기 수입 급증으로 실제 피해를 봤는지 판정할 계획이다.
hon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