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S 2018 ◆

세계 최대 기술 전시회인 CES 2018이 지난 9일부터 12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올해는 약 20만명의 참관객이 현장을 찾은 가운데 삼성전자, LG전자, 현대·기아자동차, 코웨이, 한컴 등 국내 기업과 인텔, 소니, 도요타, 포드, 엔비디아, 벤츠 등 3900개 글로벌 기업이 인공지능(AI),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IoT), 로봇 등 미래 기술을 집중적으로 선보였다.
CES 2018의 핵심 메시지는 AI 시대의 본격적인 개막이다. TV, 냉장고, 로봇청소기, 오븐, 스피커, 스마트폰 심지어 자동차와 빌딩, 도시 인프라스트럭처까지 IoT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AI를 갖추면서 인간의 말을 알아듣기 시작했다.
삼성전자는 AI 비서 빅스비를 활용해 TV와 냉장고 등을 음성으로 작동하는 모습을 시연했다. TV 화면으로 패밀리허브 냉장고 안에 있는 식자재를 확인하고 오븐을 예열하고 세탁기 작동 상태를 확인하는 등 집 안 IoT 기기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선보였다.
LG전자는 전시장의 3분의 1을 할애해 AI 가전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도록 돼 있는 'LG 씽큐 존'을 설치했다. 구글 AI 어시스턴트를 탑재한 음성인식 비서 'LG 씽큐 스피커'는 음성명령을 통해 오늘의 일정을 브리핑해주고 TV와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을 작동할 수 있었다.
구글 등장도 전시기간 내내 화제를 모았다. 구글은 '헤이 구글'이라는 광고를 라스베이거스 전역에 내고 구글 어시스턴트가 탑재된 스피커, 로봇청소기, 공기청정기 등을 집중적으로 홍보했다. 글로벌 AI 스피커시장에서 독주하는 아마존 알렉사에 도전장을 던진 것이다.
CES 2018에서는 무엇보다도 가전, 자동차 등 업체 간 경계가 무너지고 합종연횡을 가속화하는 등 시대 흐름을 선도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했다. 무엇보다도 자동차의 새로운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본격 부상이 꼽힌다. 실제 도요다 아키오 도요타 사장은 지난 7일 프레스콘퍼런스에서 "자동차 산업은 지금 커넥티드, 자율주행 기술의 진보로 100년 만에 대변혁을 맞이하고 있다"며 차세대 자율주행 콘셉트카 'e-팔레트'를 선보여 큰 화제를 모았다. e-팔레트는 5m 길이의 박스형 자율주행차로 이동상점, 이동작업공간, 카 셰어링 등 다양한 형태로 운행이 가능하다.
짐 해킷 포드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9일 개막 기조연설에서 '모빌리티와 스마트시티'가 회사의 미래 비전임을 소개했다. 젠슨 황 엔디비아 CEO가 "3~5년 내에 자율주행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 예측하는 등 자율주행 기술은 평준화되고 올해부터는 '모빌리티' 서비스가 나오는 등 도시 모습까지 '스마트시티'로 바뀔 것임을 예고했다.
'로봇'은 더 이상 미래가 아닌 시장에 판매될 수 있는 제품이라는 점도 증명됐다. 소니는 코와 꼬리에 달린 카메라를 통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장애물을 피할 뿐만 아니라 상호작용을 통해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애완 로봇 '아이보'를 부활시켰다. LG전자는 작은 눈사람 모양 가정용 로봇 '클로이'를 선보였다.
중국은 올해 CES를 통해 기술 분야에서 조연이 아닌 '주연' 임을 당당히 선언했다. CES 주최 측인 전미소비자기술협회에 따르면 4500여 개 기업이 참여한 이번 전시회에서 중국 기업은 1400개에 육박했다. 프랑스 스타트업들도 주목을 받았다. 프랑스는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재무장관시절부터 스타트업 육성을 독려하면서 스타트업을 혁신 브랜드로 밀고 있다.
[라스베이거스 = 손재권 특파원 / 서동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올해는 약 20만명의 참관객이 현장을 찾은 가운데 삼성전자, LG전자, 현대·기아자동차, 코웨이, 한컴 등 국내 기업과 인텔, 소니, 도요타, 포드, 엔비디아, 벤츠 등 3900개 글로벌 기업이 인공지능(AI),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IoT), 로봇 등 미래 기술을 집중적으로 선보였다.
CES 2018의 핵심 메시지는 AI 시대의 본격적인 개막이다. TV, 냉장고, 로봇청소기, 오븐, 스피커, 스마트폰 심지어 자동차와 빌딩, 도시 인프라스트럭처까지 IoT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AI를 갖추면서 인간의 말을 알아듣기 시작했다.
LG전자는 전시장의 3분의 1을 할애해 AI 가전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도록 돼 있는 'LG 씽큐 존'을 설치했다. 구글 AI 어시스턴트를 탑재한 음성인식 비서 'LG 씽큐 스피커'는 음성명령을 통해 오늘의 일정을 브리핑해주고 TV와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을 작동할 수 있었다.
구글 등장도 전시기간 내내 화제를 모았다. 구글은 '헤이 구글'이라는 광고를 라스베이거스 전역에 내고 구글 어시스턴트가 탑재된 스피커, 로봇청소기, 공기청정기 등을 집중적으로 홍보했다. 글로벌 AI 스피커시장에서 독주하는 아마존 알렉사에 도전장을 던진 것이다.
CES 2018에서는 무엇보다도 가전, 자동차 등 업체 간 경계가 무너지고 합종연횡을 가속화하는 등 시대 흐름을 선도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했다. 무엇보다도 자동차의 새로운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본격 부상이 꼽힌다. 실제 도요다 아키오 도요타 사장은 지난 7일 프레스콘퍼런스에서 "자동차 산업은 지금 커넥티드, 자율주행 기술의 진보로 100년 만에 대변혁을 맞이하고 있다"며 차세대 자율주행 콘셉트카 'e-팔레트'를 선보여 큰 화제를 모았다. e-팔레트는 5m 길이의 박스형 자율주행차로 이동상점, 이동작업공간, 카 셰어링 등 다양한 형태로 운행이 가능하다.
짐 해킷 포드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9일 개막 기조연설에서 '모빌리티와 스마트시티'가 회사의 미래 비전임을 소개했다. 젠슨 황 엔디비아 CEO가 "3~5년 내에 자율주행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 예측하는 등 자율주행 기술은 평준화되고 올해부터는 '모빌리티' 서비스가 나오는 등 도시 모습까지 '스마트시티'로 바뀔 것임을 예고했다.
'로봇'은 더 이상 미래가 아닌 시장에 판매될 수 있는 제품이라는 점도 증명됐다. 소니는 코와 꼬리에 달린 카메라를 통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장애물을 피할 뿐만 아니라 상호작용을 통해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애완 로봇 '아이보'를 부활시켰다. LG전자는 작은 눈사람 모양 가정용 로봇 '클로이'를 선보였다.
중국은 올해 CES를 통해 기술 분야에서 조연이 아닌 '주연' 임을 당당히 선언했다. CES 주최 측인 전미소비자기술협회에 따르면 4500여 개 기업이 참여한 이번 전시회에서 중국 기업은 1400개에 육박했다. 프랑스 스타트업들도 주목을 받았다. 프랑스는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재무장관시절부터 스타트업 육성을 독려하면서 스타트업을 혁신 브랜드로 밀고 있다.
[라스베이거스 = 손재권 특파원 / 서동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