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자산업 세계 위상은? 생산 3위·소비 5위
(서울=연합뉴스) 이승관 기자 = 지난해 우리나라는 전세계에서 전자 제품을 3번째로 많이 생산하고, 5번째로 많이 소비한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가 발간한 'CEO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전자산업 생산규모는 총 1천217억1천700만달러로, 전년(1천80억3천만달러)에 비해 10.3%나 증가했다.
이로써 전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6.6%에서 6.8%로 소폭 확대되며 3위에 랭크됐다.
특히 과거 소니를 필두로 '전자 강국'으로 군림했던 이웃 일본(1천163억5천300만달러)을 근소한 격차로 제쳤다. 일본은 최근 몇년간 이어진 감소세가 중단되긴 했지만 전년 대비 증가율이 2.4%에 그쳤다.
1위는 단연 중국으로 6천824만9천100만달러(38.1%)에 달했으며, 미국이 2천340만5천100만달러(13.1%)로 그 뒤를 이었다.
전자산업의 시장 규모에서는 우리나라가 작년 505만1천700만달러로, 전년(516억5천600만달러)보다 1.8% 줄었으나 5위 자리를 지켰다. 전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0%에서 2.9%로 소폭 낮아졌다.
중국과 미국이 각각 4천708만달러와 4천252만3천200만달러를 기록, 근소한 격차로 1·2위를 기록했으며 일본과 독일이 그 뒤를 이었다.
지난해 국가별 국민총생산(GDP) 순위에서 미국, 중국, 일본, 독일이 1~4위를 기록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경제규모 11위인 우리나라가 전자산업만큼은 이들과 함께 '톱5'에 든 셈이다.
한편, 지난해 북미 지역의 전자제품 및 부품 업계에서 최대 생산기업은 최근 삼성전자·LG전자 브랜드의 수입 세탁기에 대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를 청원한 월풀인 것으로 나타났다.
월풀은 지난해 전세계에서 2천225만대의 제품·부품을 생산했으며, 이 가운데 26.5%에 해당하는 590만대를 북미에서 생산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 델파이와 스웨덴 일렉트로룩스, 독일 콘티넨털, 미국 델 등이 월풀에 이어 북미 지역에서 2~5위 생산기업에 올랐다.
[표] 국가별 전자산업 생산·시장규모(단위 백만달러, %)
순위 | 국가 | 생산규모 | 비중 | 국가 | 시장규모 | 비중 |
1 | 중국 | 682,491 | 38.1 | 중국 | 470,800 | 26.8 |
2 | 미국 | 234,051 | 13.1 | 미국 | 425,232 | 24.2 |
3 | 한국 | 121,717 | 6.8 | 일본 | 128,111 | 7.3 |
4 | 일본 | 116,353 | 6.5 | 독일 | 63,958 | 3.6 |
5 | 대만 | 75,368 | 4.2 | 한국 | 50,517 | 2.9 |
계 | 1,791,137 | 100 | 1,756,139 | 100 |
(※ 출처 'The Yearbook of World Electronics Data 2017')

humane@yna.co.kr
'가전_김치냉장고,공기조화 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 인기가 높은 세탁기·냉장고 Top 5 순위는? (0) | 2018.01.26 |
---|---|
한 겨울 '에어컨 대전'… 중견 가전업계, 사전수요용 신제품 출시 (0) | 2018.01.26 |
해외 명품가전, 국내 프리미엄 가전 시장 공략 본격화 (0) | 2018.01.26 |
삼성전자, AI·빅스비로 진화된 2018년형 '무풍에어컨' 출시 (0) | 2018.01.25 |
日 백색가전, 맞벌이·웰빙족 증가로 20년 만에 활황 (0) | 2018.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