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 명가 손잡는 IT 업체 “음성인식 기술 선점”
AI·IoT시대 음향기술 쟁탈전
입력 : 2016-12-01 18:16 ㅣ 수정 : 2016-12-01 18:47
글로벌 정보기술(IT) 업계에서 음향기술 쟁탈전이 벌어지고 있다. 유명 오디오 브랜드와 음향기술을 보유한 회사들과 IT 업계의 전략적 제휴가 줄을 잇는 한편 업계를 뒤흔드는 투자와 인수합병(M&A)도 이뤄지고 있다. 스마트폰과 TV 등의 기기들에 ‘명품’ 사운드를 심어 제품을 차별화하려는 전략이자 음성으로 모든 기기를 제어하는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시대를 대비해 음성인식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포석이다.

▲ 프랑스 스타트업 드비알레의 소형 올인원 오디오 ‘팬텀’

송창현 네이버 최고기술책임자(CTO)는 “AI 시대에 스피커는 단순한 음향기기가 아니라 AI와 사람을 연결하는 중심 도구로 자리잡을 것”이라면서 “해당 영역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드비알레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것”이라고 밝혔다. 네이버가 지난달 공개한 AI 기반 음성인식 비서 시스템 ‘아미카’에 드비알레의 음향기술을 결합해 구글과 아마존 등이 경쟁하는 AI 스피커 분야에 뛰어든다는 계획이다. 자율주행차와 로봇 등 네이버가 최근 공개한 AI 시스템에서도 드비알레와의 협업이 가능하다.
삼성전자가 지난달 80억 달러(약 9조 4000억원)에 하만을 인수한 것도 하만의 자동차 전장(電裝)기술과 함께 음향기술까지 자사의 생태계로 끌어들이기 위한 결정이다. 하만은 JBL과 하만카돈, 마크레빈슨, AKG 등 프리미엄 오디오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손영권 삼성전자 전략혁신센터 사장은 “스마트폰과 TV, 생활가전 등 삼성전자 제품 곳곳에 하만의 음향기술이 적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음성인식 인공지능 스타트업 ‘비브랩스’를 인수한 삼성전자가 스마트폰과 가전, 클라우드 등을 아우르는 AI와 IoT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하만의 음향기술이 활용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 LG전자 ‘V20’
AI 주도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IT 기업들은 음향 기업들과의 협업을 공고히 다져 나가고 있다. 인터넷 기업에서 인공지능 기업으로 탈바꿈하고 있는 중국 바이두는 지난 9월 하만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AI 음성인식 스피커를 개발하겠다고 발표했다.

▲ SK텔레콤 AI 스피커 ‘누구’
|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1202021002&wlog_tag3=naver#csidxd5333b3cbb8587a9edd49cb6288bb30
'가전_김치냉장고,공기조화 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부대우전자, 韓 가전업체 최초 日 최대 유통채널 입점 (0) | 2016.12.07 |
---|---|
위메프, 매달 1일 가전 상품 온라인 최저가 프로모션 실시 (0) | 2016.12.07 |
롯데하이마트, 송년 감사세일…800억 규모 가전, 최대 30% 할인판매 (0) | 2016.12.07 |
전자랜드, '아듀 2016' 총결산 세일…"12월 내내 인기제품 최대 50% 할인" (0) | 2016.12.07 |
혼밥족, 외롭지 않아···1인용 소형 가전이 있잖아 (0) | 2016.12.01 |